먼저 마*환의 예측은 패스하자.
이 사람 믿고 1년 전에 채권에 올인했다가 후회하는 사람들이 넘친다.
미국이 드디어 3년 만에 기준금리를 내렸다.
무려 50bp나 깎아버린 빅컷이다.
보통 기준금리가 내리면 채권 수요가 늘어 채권 가격이 오르기 마련인데,
지금은 오히려 채권 가격이 폭락하고, 수익률은 미친 듯이 치솟고 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금리 인하인데도 불구하고 채권 수익률이 폭등한 이유는 뭘까.
오랜만의 금리 인하에 기대했던 투자자들은 채권 수익률 급등을 보고 완전 멘붕 상태다.
기준금리가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채권 수익률이 상승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다.
1. 시장 기대와 차이
이미지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기준금리는 5.25%에서 5.00%로 예측되었지만 실제로 5.00%로 하향 조정되었다.
하지만 시장은 이보다 더 큰 금리 인하를 기대했을 가능성이 있다.
시장의 기대치와 실제 결과가 다를 때, 채권 시장이 반대로 움직일 수 있다.
2. 인플레이션 기대
금리가 내려가면 일반적으로 경기 부양을 위해 유동성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인플레이션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투자자들이 금리 인하로 인해 미래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면, 이는 장기 채권 수익률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3. 경제 성장률 기대
기준금리 인하는 경제를 자극하려는 의도이지만, 경제 성장이 강해질 경우, 채권 수익률은 오를 수 있다.
이는 경제가 강하게 성장하면 채권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수익률이 상승할 수 있다.
4. 채권 수급 요인
정부가 국채 발행을 늘리거나 채권 매입이 줄어들면 공급 과잉으로 인해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수익률이 상승할 수 있다.
금리와 채권 수익률 간의 상관관계는 단순하지 않기 때문에, 금리가 내려간다고 무조건 채권 수익률이 하락하지는 않는다.
기준금리가 내려가는 동안에도 이런 다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채권 투자를 할 때는 이러한 다양한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ETF로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적분할이 물적분할보다 좋은 이유 (2) | 2024.11.03 |
---|---|
퍼플렉시티 Perplexity 주식 투자 방법 - 제2의 엔비디아? (4) | 2024.10.25 |
삼성증권 ISA 납입 한도 확인 (0) | 2024.10.17 |
은퇴 후에도 돈 걱정 없는 자동소득 창출법: 세금·건보료 걱정 끝! (4) | 2024.10.16 |
국채 금리의 의미: 2년, 10년, 20년 금리와 경제 신호 분석 (3) | 2024.10.14 |
댓글